DRB는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부터 대응 및 개선까지 총 4단계에 걸쳐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정기적인 리스크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검토하여 경영 전략에 반영하고, 구체적인 리스크 관리 활동과 연계함으로써 그 성과와 개선 방안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고도화된 분석을 통해 사업장별 세부적인 위험과 기회를 식별한 전략 수립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1.기후 변화 리스크 분석 | 2.대응 방안 검토 | 3.리스크 관리 및 대응 활동 | 4.리스크 대응 성과 모니터링 및 개선 |
---|---|---|---|
|
|
|
|
DRB는 탄소배출량이 많은 주요 종속법인을 중심으로 각 법인별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에 앞서 전사의 배출량(Scope 1 + 2) 감축 계획 설정을 통해 Guid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을 기준으로 2030년까지 약 30% 감축, 2040년까지 약 60% 감축, 2045년에는 자동차부품부문 탄소중립 달성, 2050년 전사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계획입니다.
1) DRB동일과 DRB오토모티브는 2022년 물적 분할을 통해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분리하였음. 2022년 부터 DRB동일 배출량은 기타에 포함
1) DRB 전사 통합 배출 집약도(원단위, 매출액 십억)의 경우 연결 기준 매출액 적용
동일고무벨트는 2050년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단기 목표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년도(2021년 Scope1+2 총 배출량 12,756 tCO2eq) 보다 28% 감축(Scope1+2 총 배출량 9,184 tCO2eq)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생산 공정에서의 최적화와 에너지 절감을 중심으로 실행 방안을 수립하고 있으며, 공정별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여 불필요한 가동을 줄이고 고효율 모터 및 인버터 도입을 통해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장 내 조명을 고효율 LED로 전환하고, 냉난방 및 환기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추가적인 감축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국 내 재생에너지 전환 가능성을 고려하여 외부 재생에너지 구매(PPA) 도입을 검토하며, 중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1) 배출집약도(원단위, 매출액 십억)의 경우 연결 기준 매출액 적용
DRB오토모티브는 2045년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단기 목표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년도(2021년, Scope 1+2 총 배출량 7,394.65 tCO2eq) 보다 28% 감축(Scope 1+2 총 배출량 5,915.72 tCO2eq) 하고자 합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DRB오토모티브는 자동화 및 운영 최적화를 통해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재 단계에서의 감축을 위해 재생 고무 및 저탄소 소재 사용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자동차 OEM 고객사의 친환경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원자재 적용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2024년에는 사업장 부지 임대를 통해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20년간 사용 계약을 체결하여 기존 사용 전력의 15~2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습니다. 향후, 한국의 재생에너지 전환 환경을 고려하여 RE100 대응을 위한 인증서(REC) 구매와 추가적인 PPA 계약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할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1) 배출집약도(원단위, 매출액 십억)의 경우 별도 기준 매출액 적용
DRB Qingdao는 2045년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단기 목표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년도(2021년, Scope 1+2 총 배출량 23,567 tCO2eq) 보다 28% 감축(Scope 1+2 총 배출량 16,968 tCO2eq) 하고자 합니다. 공정 개선 및 설비 운영 최적화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공정 자동화를 확대하여 생산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생 고무 사용 비율을 높이고, 원료 공급망의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협력사와의 협업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사업장 내 태양광 전력 발전 사업자와의 장기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한 상태이며, 중국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가능한 경우 현지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과의 추가 협력을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1) 배출집약도(원단위, 매출액 십억)의 경우 별도 기준 매출액 적용
DRB Slovakia는 2045년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단기 목표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년도(2021년, Scope 1+2 총 배출량 3,271 tCO2eq) 보다 28% 감축(Scope 1+2 총 배출량 2,355 tCO2eq)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공조 시스템 운영을 최적화하고, 법인 내 조명을 모두 고효율 LED로 교체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생산 일정과 설비 운영 방식의 조정을 통해 비가동 시간 동안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럽 내 탄소 규제 대응을 위해 저탄소 원자재 적용을 확대하고, 재생 고무 사용 비율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2025년 제2공장 지붕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직접 PPA)하여 연간 613,227kWh의 전력을 생산할 예정입니다. 이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 전략은 법인 내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는 중요한 요소로, 외부 재생에너지 구매(PPA) 계약 체결과 함께 현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의 협업을 통해 친환경 전력 사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유럽 내 기업들이 RE100 목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DRB Slovakia는 이러한 계획을 바탕으로 탄소 배출 감소와 지속 가능한 전력 사용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배출집약도(원단위, 매출액 십억)의 경우 별도 기준 매출액 적용
DRB Vietnam은 2024년 제2공장을 준공 하였으며, 해당 공장의 운영 및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여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DRB Vietnam은 2045년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중단기 목표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년도(2021년, Scope 1+2 총 배출량 18,436 tCO2eq) 보다 28% 감축(Scope 1+2 총 배출량 13,274 tCO2eq) 하고자 합니다. 공정 최적화를 위해 불필요한 가동을 줄이고,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에너지 절감을 실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원자재 사용에서도 재생고무 비율을 확대하여 생산 단계에서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일환으로 바이오매스 연료를 활용한 에너지 사용을 적극 확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공장 운영에 있어 왕겨 펠릿 및 톱밥 장작 등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을 주요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석연료 사용을 저감하고 탄소중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매스 기반 에너지 활용은 자원의 순환적 이용과 지역 자원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DRB의 친환경 경영 전략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실행 사례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이 활성화되고 있는 베트남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공장 내 유휴 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발전 사업자와의 전력 구매 계약(PPA, Power Purchase Agreement)을 기반으로 태양광 패널 설치를 계획하고 있으며, 필요 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과의 연계를 통해 에너지 자립성을 더욱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조치는 외부 전력망 의존도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공장 운영에서의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점진적으로 확대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DRB의 지속가능경영 목표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배출집약도(원단위, 매출액 십억)의 경우 별도 기준 매출액 적용
1)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적용
DRB는 지속가능경영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외부 전문기관의 3자 검증을 연 1회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검증은 ISO 14064-1 및 ISO 14064-3 등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준에 따라 수행되며, Scope 1, Scope 2는 물론 주요 사업장의 Scope 3 배출에 대해서도 검증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확보하고,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실행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검증 결과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각종 공시자료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책임 있는 기후 리더십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법인명 | Scope1 | Scope2 | Scope1+2 | ||
---|---|---|---|---|---|
지역 기반 | 시장 기반 | 지역 기반 | 시장 기반 | ||
(주)DRB동일 | 11.18 | 84.61 | 84.61 | 95 | 95 |
동일고무벨트(주) | 5,603.34 | 5,895.77 | 5,895.77 | 11,494 | 11,494 |
디알비유니온벨티노(주) | - | 64.52 | 64.52 | 64 | 64 |
DRB오토모티브(주) | 1,272.69 | 7,692.52 | 7,692.52 | 8.,964 | 8,964 |
DRB오토메이션(주) | 14.97 | 399.58 | 399.58 | 414 | 414 |
DRB헬스케어(주) | 3.43 | 380.83 | 380.83 | 384 | 384 |
DRB인터내셔널(주) | 21.7 | 175.34 | 175.64 | 197 | 197 |
DRB청도 | 5,208.80 | 18,615.26 | 14,187.90 | 23,824 | 17,275 |
DRB러시아 | 480.68 | 233.27 | 233.27 | 713 | 713 |
DRB슬로바키아 | 631.37 | 1,959.81 | 1,959.81 | 2,591 | 2,591 |
DRB베트남 | 2,633.38 | 14,642.08 | 14,642.08 | 17,275 | 17,275 |
미주판매법인(LA, 조지아) | 51.17 | 40.44 | 40.44 | 91 | 91 |
인도네시아판매법인(자카르타) | 7.01 | 10.25 | 10.25 | 17 | 17 |
상해판매법인(상해) | 8.78 | 15.09 | 15.09 | 23 | 23 |
일본판매법인(후쿠오카) | 0.64 | 7.2 | 7.2 | 7 | 7 |
사업장별 소수점 버림 처리하여 총량과 항목별 배출량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법인명 | Scope1 | Scope2 | Scope1+Scope2 |
---|---|---|---|
(주)DRB동일 | 7.84 | 82.32 | 90.16 |
동일고무벨트(주) | 6,207.21 | 5,877.59 | 12,084.81 |
디알비유니온벨티노(주) | 6.88 | 64.19 | 71.07 |
DRB오토모티브(주) | 1,256.07 | 7,325.55 | 8,581.62 |
DRB헬스케어(주) | 3.15 | 427.63 | 430.78 |
DRB인터내셔널(주) | 12.82 | 87.92 | 100.74 |
DRB청도 | 5,494.07 | 20,433.48 | 25,927.55 |
DRB러시아 | 451.81 | 105.83 | 557.64 |
DRB슬로바키아 | 981.03 | 1,778.14 | 2,759.17 |
DRB베트남 | 621.71 | 19,692.95 | 20,314.66 |
미주판매법인(LA) | 4.64 | 4.42 | 9.06 |
미주판매법인(조지아) | 46.71 | 38.13 | 84.84 |
인도네시아판매법인(자카르타) | 7.26 | 10.23 | 17.49 |
상해판매법인(상해) | 4.43 | 9.92 | 14.36 |
일본판매법인(후쿠오카) | 0.42 | 6.13 | 6.55 |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법인명 | Scope1 | Scope2 | Scope1+Scope2 |
---|---|---|---|
(주)DRB동일 | 6.83 | 104.30 | 111.13 |
동일고무벨트(주) | 6,398.01 | 6,412.23 | 12,810.24 |
디알비유니온벨티노(주) | 5.5 | 64.49 | 69.99 |
DRB오토모티브(주) | 1,238.62 | 6,696.75 | 7,935.38 |
DRB헬스케어(주) | - | 437.39 | 437.39 |
DRB인터내셔널(주) | 15.93 | 83.83 | 99.76 |
DRB중경 | 616.23 | 3,223.32 | 3,839.56 |
DRB청도 | 4,740.04 | 15,209.51 | 19,949.55 |
DRB러시아 | 570.86 | 154.57 | 725.44 |
DRB슬로바키아 | 626.35 | 2,095.89 | 2,722.24 |
DRB베트남 | 675.32 | 22,910.18 | 23,585.50 |
미주판매법인(LA) | 3.2 | 5.26 | 8.46 |
미주판매법인(조지아) | 44.07 | 40.12 | 84.19 |
인도네시아판매법인(자카르타) | 5.04 | 9.44 | 14.48 |
상해판매법인(상해) | 1.62 | 8.86 | 10.48 |
일본판매법인(후쿠오카) | 0.55 | 4.68 | 5.24 |